Notice
Recent Posts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관리 메뉴

인생사용설명서

직장인 97% 상사 갑질 경험, 인크루트 설문조사에 대해..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직장인 97% 상사 갑질 경험, 인크루트 설문조사에 대해..

인생사용설명서 2018. 4. 18. 15:46

직장인 97% 상사 갑질 경험, 인크루트 설문조사에 대해..



오늘 이런 뉴스가 네이버 메인을 장식했네요.





이제 대한민국의 직장 생활 문화도 조금은 변화가 찾아올 모양입니다.

직장 내 만연했던 성희롱, 성추행 문제를 고발하는 미투운동에 이어, 상사 갑질 문제까지..


이렇게 우리사회의 어두운 부분들이 자꾸 들추어 지고, 알을깨고 밖으로 나오는 것은..

사실 조금은 껄끄럽고 불편한 일이지만, 아주 반길만한 일입니다.

잘못된 건 이제라도 바로 잡아야지요.

언제라도 바로 잡아야지요.



조현민 대한항공 전무의 '물벼락 갑질'사건..

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의 '땅콩 회항' 사건..

자매가 참 많이 닮았네요.


조현아씨는 땅콩회항 사건 때, 항로방해죄로 집행유예를 선고 받았다고 하는데..

집행유예라도 잘못은 잘못이니까요. 많이 반성하셨으면 좋겠고..


조현민 전무는 이번 사건에 거짓 없이 조사 잘 받고 마땅한 죄 값 꼭 치르시기 바랍니다.


마음 같아서는 대한한공 불매 선언! 하고 싶네요.

에휴..


취업포털 인크루트에서 직장인 898명을 대상으로,

'갑질상사'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고 합니다.


그 결과, 97%가 '갑질 상사와 일한 경험이 있다'라고 대답했다고 하는데요..





갑질 상사 유형 중 1위는 '자신의 업무에 대한 책임회피형'과, '본인 기분대로 팀분위기를 바꾸는 기분파형' 이 차지 했다고 합니다.


그 뒤를 이어 '이랬다 저랬다 말 바꾸는 형', '사사건건 감시와 지적형', '상사의 명령이나 의견에 무조건 맞추는 YES맨 형', ' 자신과 코드가 맞는 직원에게만 자율권, 눈밖에 난 직원에게는 간섭하는 사내정치 조장형'이 뒤 따랐다고 하네요.


97%라고 하면, 거의 모든 직장인 들이 갑질을 겪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네요.


하지만 이 통계에서의 일부 내용은 상사의 갑질 이라기 보다는..

'싫은 유형의 직장상사' 란 타이틀이 더 어울리겠네요.





저도 직장생활 할때.. 상사의 갑질을 여러번 경험했습니다.


제가 겪은 일 중, 가장 심하게 갑질이라고 느껴졌던 것은..

상사의 욕설이었습니다.


주간 회의 때 마다 10분, 20분 씩 훈계를 들었어야 했었는데.. 중간 중간 욕설이 난무했었네요.

상사 입장에서는 단지 강한 어조를 사용 했을 뿐, 더 잘하라는 격려의 의미였겠지만, 


듣는 입장에서는 그냥 폭력이었습니다.

언어폭력 또한 폭력! 

직장내에서는 절대 있어서는 안될일이지요.


또 한 가지 일은.. 

종교 강요 였습니다.

이게 정말 갑질 중의 갑질이었지요.

노동부에 신고하고 싶을 정도 였지만, 당시에는 용기가 부족했습니다.





대표가 기독교 신자 였는데.. 그리 작은 규모의 회사가 아니었음에도..

월 1회 전 직원들을 모아 놓고 기도와 찬송가를 부르게 했습니다. 

물론 종교가 다른 직원들도 모두 참석하여야 했고, 

주 1회는.. 무려 1시간 씩(7시 30분 출근)이나 일찍 출근하여 성경 공부도 하게 했지요.

지각이나 미 참석자는 개인면담과 왕따 분위기 조성.. 


전 기독교 신자가 아닌지라 더 견디기 힘들었습니다.

엄연히 종교의 자유가 있는 국가인데..

이건 불법이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 들더군요.


이건 정말 아니다 싶었지만, 꽤 오래 참고 지내다 지금은 퇴사를 했습니다.

지금도 이 회사가 그 때 처럼 종교강요를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ㅎㅎ


여전히 그러고 있다면,

요즘처럼 직장내 갑질논란이 화제가 되고 있는 이런 시점에..

어떤 입장일까도 궁금하네요.


혹시... 본인들이 갑질을 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니겠죠??

내로남불? ㅡㅡ;;


그리고 저 또한 반성해봅니다.

본의 아니게 부하직원들에게 갑질하는 상사가 되지는 않았었는지,

만약 저에게 상처 받은 동료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사과하고 싶네요.. 


Comments